표준화가 뭐하는 건가요?
2012. 1. 4. 14:42ㆍ직장에서 하는일
728x90
▣ 표준화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 만물의 원초적인 상태(Chaos)가 질서(Cosmos)와 조화의 상태로 변화하는 것이다.
- 인류의 탄생이래 축적된 지혜와 지식을 약속으로 한 역사적 유물들이다.
- 여유와 풍요로운 생활을 위한 해결사이다.
- 가정, 사회, 회사 생활의 모든 것 ; 마치 공기와 같은 존재이다.
- 안전, 편리함과 경제성 추구를 위한 좋은 약정, 규칙도 표준화라 말할 수 있다
- 기업 및 국가 경쟁력의 척도로서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이다.
역사에서 찾아보는 표준화 과정
- BC 7000년 이집트 ;표준화된 모양의 돌을 무게의 단위로 사용하였다.
- 중국 진시황 ; 진시황이 넓은 중국땅을 통일 한 이후 도량형 통일을 최수선 국가과제로 추진하였다
- 17세기 네덜란드는 어선 제조시 어선의 부품을 모듈화 하였다
- 헨리포드 포드사의 자동차 부품 표준화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졌다.
▣ 표준의 긍정적 효과
- 호환성에 의한 네트워크 외부효가가 크다.
- 시장에서의 탐색비용과 측정비용이 절감된다.
- 기술혁신이 가속화 된다.
- 생활의 편익이 증진된다.
- 세계무역의 원활화를 통한 세계졍제 발전이 기여한다.
▣ 표중의 부정적 효과
- 최신 과학기술의 적용시 마찰되는 규격 내용이 존재한다
- 과도한 표준화로 인한 제품의 다양성이 감속하고 기술혁신을 둔화 시킨다.
- 표준에 맞추기 위한 생산비용이 증가된다(특히, 기숙적 열위에 있는 국가와 기업)
- 고용의 감소 경향이 있다.
▣ 표준 미준수로 인한 대형사고의 예
대구지하철 가스폭파 사건 - 가스관의 강도 표준 미준수(KS D 3546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성수대교 붕괴 - 용접부위의 비파과 검사 표준 미준수
미국 챌린저호 폭파 - 우주선 나사의 규격 미달제품 사용
대구 지하철 화재 사건 - 내장재의 연기독성 시험방법 표준 미제정 및 독성이 있는 내장재를 사용
'직장에서 하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패와 성공 - 얻은 것과 잃은것 (4) | 2012.01.20 |
---|---|
하지말라고 하면 더하는 게 사람심리? (0) | 2012.01.13 |
위기 극복의 사례 - Tylenol (2) | 2011.12.21 |
위기 극복의 사례 - Exxon (0) | 2011.12.19 |
법과 관련된 격언 (2) | 201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