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하는일(59)
-
프레임 디텍터 테스트키트
이렇게 생겨 먹었어도 기백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가격대의 이 물건은 화재시 불꽃을 감지하는 프레임 디텍터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일반 조도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적외선과 자외선을 센싱하는 것으로 일반 조명과는 다르기 때문에 가격이 셀 수 밖에 없나 보다. 전력또한 많이 잡아 먹기 때문에 휴대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배터리를 쓰고 축전지의 소형형태의 이것을 쓴다. 그런데, 충전시간... 이 충전이 걸려도 너무 오래 걸린다. 무겁기는 또 왜그리 무거운지... 충전불이 벌겋게 타오를 뿐 사용적정하기까지 충전은 몇시간이 더 기다려야 하는지 모르겠다.
2015.08.14 -
핫코일과 콜드코일의 차이
> 핫코일의 제조 과정 > 콜드코일의 제조 과정 1. 롤링 공정의 다른점 Hot rolling 과정이 강판을 제작할 때 더 가공이 쉽고 롤로 가공하는 장점이 있다. 화씨 1000도 (섭씨 538도) 이상의 공정에서 가공하는 것을 Hot coil공정이라 한다. Cold rolling 은 상온에서 금속을 롤로에 통과시키면서 구부린다. 철판의 두깨가 앏은 것을 사용하며 금속의 강도가 강하다. 2. 핫코일과 콜드코일의 장단점 콜드(냉연) 스틸은 공정에서 이미 제단이 마치고 나온 이유 탓에 핫 강재(강연) 보다 더 재단이 정확하다.그러나 콜드스틸은 제원이 제한되어 있으며 모양또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핫 강재를 콜드 공정에 재 가공함으로 서 이런한 단점들 모양의 다양함 치수등을 변형 할수 있다. 3. 핫코일과 ..
2015.07.10 -
급박한 상황에서 절차를 따르는 것이라
직장에서 밀폐구역에서의 구조를 토론하다 진입 절차와 작업허가서 형태의 절차를 따를 것인가 아닌가에 논점에 불을 짚였다. 긴급한 상황에 서류적인 일을 할 시간이 어디 있는가가 갑의 주장이며, 여느 긴급한 상황보다 일의 순서가 중요하니 절차의 형태로 가야 한다는 을의 주장이다. 시간의 싸움이며 구조자 본인의 안전이 중요한 사안이라 쉽사리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였다. 결론은, 골든 타임랩을 설정한 밀폐구역 진입 절차를 지키는 것이었다. 그렇기의해서는 절차가 익숙해지기까지 반복훈련을 해야 한다. 미국 911에서 보여주는 이 훈련사항이 들어가기 전부터의 준비품과 절차를 잘 보여 주고 있다. [그밖에 참고할 만한 문서]The Standard 클럽에서 제공한 A Master's Guide to : ENCLOSED SP..
2015.07.08 -
가스검지기의 요건 그리고 GX-85N
밀폐구역에서의 작업은 대단히 위험이 높은작업 중에 하나이다. 그 결과 인명손실이라는 중대사고가 결과되는 사례를 낳기도 하다. 그리하여 2015년부터 민폐구역에서의 조난훈련을 2개월에 1회씩 하도록 SOLAS에서 강제화 하기도 하였다. 사실 이보다 더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옳바른 가스 탐지기를 사용하는 것에 논점이 이뤄져야 한다. 자동차선은 자동차 연료의 다변화로(이미 배터리 구동이 실현화 되었다) 가연성 가스 뿐만 아니라 배터리 전지에서 나올 수 있는 수소가스를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IMO에서는 현재 산소, 일산화탄소, 가연성 가스 그리고 황화수소 이 4개의 가스를 검지할 수 있는 가스탐지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 모델 GX 85N 1985년도에 고안된 제품이라 85인가? 이 골동품 모델은 ..
2015.05.29 -
열린강좌 "성공하는 콘텐츠의 비결"을 보고 남기는 노트
열람한 강좌 : 한국콘텐츠, 아카데미 열린강좌, 김선구 이사의 "성공하는 콘텐츠의 비결" http://edu.kocca.or.kr/contents/openclass/68/main.html 둘째 꼬맹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로보캅(?) 로보카 폴리로보카 폴리가 탄생하기까지 5년이라는 준비기간이 걸렸다. 위 출처의 열린강좌 성공하는 콘텐츠의 비결을 보면서성공하는 콘텐츠의 비결이라고 하지만,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과 콘텐츠가 철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자동차 흔한 소재이지만, 역동적으로 변신을 하고 매번 사고가 날때마다 성공적인 구조를 한다. 물론 교훈은 빠질 수 없다.
2015.05.27 -
이런 사업어때요?
하는 일이 인증과 관련이 있고, 동료들과 대화중에 미래창업 아이템에 대화를 한적이 있었다.그 중 하나가 중동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HALAL 음식판매하는 것이었다. 또 내가 살고 있는 인근에는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 등 무슬림 종교를 가진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 편이었다. 처음 생각의 시작은 '음식을 제조가 아닌 서비스 하는 업종에도 HALAL 인증을 받을 수 있을까?' 부터 시작하였다.나름 하는 일이 인증과 관련이 많지만, HALAL에 대해 모르는게 너무도 많았다. * 할랄 음식을 수입하는 업체와 연결할랄(Halal)이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폴 등 이슬람권 국가에서 식품 등을 수입할 경우에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인증서(Halal Certificate)입니다. 상기 국가들의 음식류 수입업체를 찾는..
2015.03.11